전체 글 63

Common Technical Document (CTD)

의약품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규제기관에 관련 자료를 문서로 제출해야 합니다. 이 문서를 '국제공통기술문서(Common Technical Document, CTD)'라고 하는데, ICH M4Q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 문서 양식의 목적은 'common format for the preparation of a well-structured Common Technical Document for applications that will be submitted to regulatory authorities'입니다. 간단히 말해 CTD는 의약품 허가 신청을 위해 규제기관에 허가 자료를 낼 때 잘 구성된 공통 양식으로 작성함으로써 검토 시간과 자원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CTD는 아래 그림과 같이 5개의 module..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갱의 밸리데이션(Gowning validation)

GMP 시설에는 환경 관리를 위해 grade가 존재합니다. 각 grade에는 요구 조건이 상이한데, grade A가 가장 엄격합니다. 작업장의 grade에 따라 작업원의 갱의 수준 또한 달라지는데, 갱의한 옷으로부터 검체를 채취 및 미생물 시험을 하여 기준치 이상의 균이 없음을 확인함으로써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갱의 밸리데이션입니다. 쉽게 말해 작업 환경을 오염 시키지 않을 정도로 옷을 잘 입었는지 확인하는 검증입니다. 갱의 밸리데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grade 이동 시 작업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머리부터 발을 포함하는 모든 표면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검체는 위험 평가를 통해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위험이 큰 위치를 채취해야 하며, 채취자는 미..

카테고리 없음 2024.10.20

문서 관리

오늘은 GMP 문서 관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문서는 생성에서 폐기까지 life cycle이 존재하며, 각각의 단계에서 GMP적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각 단계별로 변경관리가 필요하고, 그 안에서 영향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문서의 life cycle 및 각 단계의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문서 개발 (develop) 및 생성 - 업무 절차 및 시간의 순서에 따라 작성하도록 design - 추적성을 기록할 수 있도록 design​ 2. 문서 등록 및 개정 (resister & revision) - Change control ​ 3. 문서 사용 및 유지 (use & maintain) - 기록서 & 로그북 - issues와의 추적성 연계 필요 - 문서의 time li..

카테고리 없음 2024.10.15

Due Diligence Visit

Due diligence visit(DDV)이란 위탁생산(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s) 계약을 맺기 전 수탁업체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점검으로 정식 실사(full audit)로 볼 수는 없습니다. 규제기관이 아닌 위탁업체(clients)가 점검을 하며, 위탁업체가 컨설턴트에게 의뢰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DDV에서는 - 수탁업체가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만 파악 - 서류 검토, 시스템 파악은 향후 정식 실사에서 확인 - 위탁사는 최소한 service agreement를 체결한 후 정식 실사를 요구 정식 실사와의 차이점은 - DDV는 대부분 Q&A 및 tour로 진행 - SOP의 존재 여부정도만 파악 * 정식 실사에서 실제 기록을 보면서 점검 - 일반적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4.10.04

QC 방법서에 대한 검토 방법

SOP의 전반적인 검토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에 설명을 했었습니다. 오늘은 QC의 SOP에서 무엇을 고려하고 검토해야 하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https://note4692.tistory.com/m/14 SOP의 검토 방법 (중급)이번 시간에는 중급 수준의 SOP 검토 방법를 각 목차별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초급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고, 고급은 너무 specific해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 예를 들어 시험 방note4692.tistory.com 1. 시약의 화학기호에는 H2O가 포함되어 있는데, SOP에는 수화물이라고 명시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 검토 의견: 칭량 무게에서 수화물(hydrate)는 고려하였는가? 무수물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시험에 ..

카테고리 없음 2024.10.02

AQL

AQL(합격품질수준, Acceptance Quality Level)은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국제 표준 방법으로 품질 평가를 위한 통계적 검체채취(sampling) 과정으로 '전수 검사가 어려운 경우 샘플링 검사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고, 고객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결함률을 정의하는 기준'입니다. 원자재 중에서도 원료보다는 자재(유리병, 고무마개, 알루미늄캡 등)에 적용합니다.​ 연속적인 로트에서 샘플링 검사 결과 최하의 허용가능한 공정 평균이며, 임의의 검체 채취 후 시험했을 때 허용가능한 '불합격' 수준을 결정, 시험 결과는 부적합품 퍼센트 또는 100 아이템 당 부적합 수로 표현하게 됩니다.​ AQL의 목적은 공급업체에게 '로트 불합격'이란 압박을 주어 공정 평균을 AQL의 규정 값과 등등한 정..

카테고리 없음 2024.10.02

CHT & DHT

CHT(Clean Hold Time)와 DHT(Dirty Hold Time)는 일반적으로 제조에 사용된 설비(탱크 등)에 많이 적용하는데, 이 외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DHT은 '설비의 사용 후 부터 세척 전까지의 방치 가능한 시간'을 의미합니다. 그럼 이 DHT를 왜 고려해야 할까요? 설비를 사용한 후에 즉시 세척을 하면 매우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발생합니다. 사용 후 방치한다는 것은 설비 안에 있던 잔류물을 굳게 만들고, 이는 세척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일정 기간 내에 세척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잔류물이 세척을 통해 제거되고 청결도 또한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관련 시험으로는 잔류물 확인을 위한 TOC시험, 균 제거 확인을 위한 엔도톡신, 미생물 ..

카테고리 없음 2024.10.01

IPC (In Process Control)

IPC(In Process Control)는 회사마다 명칭이 다를 수 있지만, 공정 중간에 공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관리 수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만, 절대적인 정의는 아닙니다. 변동될 수도 있고, 안쓰는 회사도 있을 수 있습니다. ​ 1)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폐기 (IPS, IPT) - 기준이 매우 엄격 2) 특정 parameter를 조정하면 기준 내로 정상화 (IPC) -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 특정 parameter를 조정 - 조정 가능여부는 PV에서 확인 했어야 합니다 - 특정 parameter 조정 시 어떤 규격(제품의 특성)이 조정되는지 확인 (parameter와 제품의 특성간 연계가 중요)​ 3) 공정의 유지됨을 확인만 하고, 조정 ..

카테고리 없음 2024.09.20

제조소총람 (Site Master File)

Site Master File(SMF, 제조소 총람)은 일반적인 회사의 정보를 포함하여 품질 시스템, 건물, 설비 등의 소개를 반영한 문서입니다. 기본적으로 '회사를 소개하기 위한 자료'로서 SMF을 관리합니다. 문서 관리 체계에서 가장 상위에 policy와 standard를 두고, 그 하위에 회사에서 관리(control)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소개하는 것 입니다. 좁게 보면 단순히 회사를 소개하기 위한 자료이지만, 크게 보면 우리가 회사를 어떻게 control 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그래서 SOP 뿐만 아니라 도면(흐름도 등)도 포함됩니다. 하지만 이런 정보는 on site 실사에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SMF의 중요도가 떨어져 보이기도 합니다. 해외 규제기관 수검의 경우 회사 소..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SOP의 검토 방법 (중급)

이번 시간에는 중급 수준의 SOP 검토 방법를 각 목차별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초급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고, 고급은 너무 specific해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 예를 들어 시험 방법서에 대한 고급검토는 회사의 AMV가 반영되어야 하고, 검체 채취 방법서는 QC의 검체관리 관점과 PV 시 설정한 검체 채취 위치의 적절성 등에 대한 내용이 회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는 고급 검토 방법은 다루지 않을 예정입니다.​ SOP는 공통적으로 아래와 같이 요구됩니다. - 신입사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과 표를 활용 - 작업자가 어떻게 일해야 하는지 알 수 있어야 함 - QA가 해당 SOP를 활용해서 실사 대응이 가능해야 함 - 해당 업무를 하지 않더라도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함 -..

카테고리 없음 2024.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