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

실사 준비 장소 (War room)

이번 시간에는 실사 대응을 준비하는 장소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실사를 대응하려면 실사장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실사자에게 보여줄 문서를 검토하고, 실사 대응을 준비할 장소가 필요합니다. ​이 장소를 war room/ready room 등으로 불립니다. 저는 war room으로 표현하겠습니다. ​War room 관리자의 주요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실사 대응자를 준비 - 실사자에게 무엇을 보여주고 답변할 것인지 결정 - 답변 준비상태를 실사장과 공유 - (매일) 지적사항 목록을 관리 - 실사장에 제공할 문서의 전달을 위한 인원을 관리 - war room에 대한 접근 및 보안을 관리 - 제한 시간(ASAP) 내 문서를 준비 * 실사자가 요구한 시점부터 최대 24시간 이내 ​ War room에서 수행..

카테고리 없음 2024.11.15

Equipment Qualification (2/2)

소프트웨어 기기의 적격성 평가에 이어 하드웨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많이 들어본 용어일 것입니다. 각각의 정의 및 요구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소프트웨어 또한 아래의 조건이 필요한 경우 적용됩니다. 1. 사용자 요구 규격(URS) - 장비의 목적, 적용 범위, 필수 항목, 성능, 제공되는 문서 등이 언급된 문서 2. 디자인 Design qualification(DQ) - URS에 정의된 디자인에 대한 확인 - 기대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문서 - 이 후 예산 및 기기 인수 절차 진행 3. 설치 Installation qualification(IQ) - 설치 시 받은 자료 및 제조업체의 요구사항에 따른 설치 방법 확인 - 장비에 대한 전력 공급, 위치, 설치 환경이 중요 4. 운영 ..

카테고리 없음 2024.11.13

Equipment Qualification (1/2)

기기(equipment)는 크게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구분합니다. 이들 기기에 대한 적격성 평가는 일관된 방식으로 설정한 매개 변수(parameter)를 실행하고, 그 결과의 조작(manupulation) 또는 변동성(variation)을 관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기기(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는 적격성의 범위가 정해져야 하며, 아래 요인들에 기반하여 시스템의 위험을 평가하게 됩니다. - 시스템은 접근관리(access control)를 요구하는가? - 시스템의 기능은 복잡한 통합 절차(integrited process)에 의존하는가? - 시스템의 산출물(output)은 최종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가? - 특정 결과값을 얻기 위해 특별히 조절해야 하는 시스템의 입력값(input)이 있는가? (쉽지..

카테고리 없음 2024.11.12

안정성(stability) 시험

안정성(stability) 시험이란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최종 제품의 유효기간(shelf life)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원자재로부터 제품이 제조되고, 소비자가 사용할 때까지 각 단계마다 어떤 외부요인이 제품에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습니다. 제품의 시작(원료)부터 끝(소비자의 사용)까지 각각의 단계에서 제품이 안정하다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안정성 시험의 목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안정정 시험이 필요한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원자재 안정성(Raw material) 2. 반제품(Intermediate products) 3. 제품 보관 및 운송 안정성(Storage & Shipping) 4. 유효기간 안정성(Shelf life) 5. 소비자 사용 안정성(In us..

카테고리 없음 2024.11.11

자율점검 (Self-inspection)

저의 routine한 업무 중 하나가 자율점검(internal audit, self-inspection) 관리입니다. 외부 규제기관의 실사 시 자율 점검은 시스템의 존재 여부만 확인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 자율 점검을 수행하고 있는가? 설령 실사자가 어떤 지적사항이 있었는지 상세하게 물어보더라도 내부 규정상 자율점검의 지적사항은 공개할 수 없다고 대응하면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아래의 내용 정도는 실사자에게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 자율 점검의 수행 주기 * 연간 계획에 따라 수행 - 자율 점검은 누가 수행하는지 * 제 3자가 수행(주로 QA) * 자율점검 실사자의 자격 조건 - 지적사항은 어떻게 조치하는지 * CAPA의 절차 * 지적사항의 추적 - 문서화는 어떻게 하는지 * 계획서 및..

카테고리 없음 2024.11.10

RABS & Isolator

GMP site에서 가장 큰 오염원은 사람의 조작 (handling)과 움직임입니다. 특히 제품의 충전 같이 무균 공정(aceptic process)이 필요한 작업은 더욱 더 중요하며, 중요 공정에서 사람의 간섭(human intervention)을 줄이는 것은 제품의 품질과 직결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분리 기술에는 RABS(Restricted Access Barrier Systems)와 Isolator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둘 다 작업자와 물리적으로 차단을 시키지만 RABS는 아래 부분이 뚫려(open RABS)있거나 슬라이드로 열고 닫게 되어(Closed RABS)있고, Grade A급의 air가 위에서 아래로 계속 공급하여 작업(충전)과 작업자를 차단(bar..

카테고리 없음 2024.11.09

Quality by Design (QbD)

ICH Q8(R2) Pharmaceutical development에 언급된 Quality by Design(QbD)는 의약품 개발을 위한 systematic approach를 의미합니다. Rule과 process에 기반함으로써 사람으로부터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목표를 미리 정하여 시작하며, 합리적인 과학과 품질위해관리(quality risk management)에 기반하고, 제품 및 공정의 이해와 공정 관리를 강조합니다. 이 때 확인한 품질특성이 Process Validation의 필수 요소가 됩니다. 1. QTPP(Quality Target Product Profile) - 시장에서 원하는 제품의 특성 - 제형, 투여량, 투여 경로 등 2. CQA(Critical Quality Attributes) -..

카테고리 없음 2024.11.08

Common Technical Document (CTD)

의약품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규제기관에 관련 자료를 문서로 제출해야 합니다. 이 문서를 '국제공통기술문서(Common Technical Document, CTD)'라고 하는데, ICH M4Q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 문서 양식의 목적은 'common format for the preparation of a well-structured Common Technical Document for applications that will be submitted to regulatory authorities'입니다. 간단히 말해 CTD는 의약품 허가 신청을 위해 규제기관에 허가 자료를 낼 때 잘 구성된 공통 양식으로 작성함으로써 검토 시간과 자원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CTD는 아래 그림과 같이 5개의 module..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갱의 밸리데이션(Gowning validation)

GMP 시설에는 환경 관리를 위해 grade가 존재합니다. 각 grade에는 요구 조건이 상이한데, grade A가 가장 엄격합니다. 작업장의 grade에 따라 작업원의 갱의 수준 또한 달라지는데, 갱의한 옷으로부터 검체를 채취 및 미생물 시험을 하여 기준치 이상의 균이 없음을 확인함으로써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갱의 밸리데이션입니다. 쉽게 말해 작업 환경을 오염 시키지 않을 정도로 옷을 잘 입었는지 확인하는 검증입니다. 갱의 밸리데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grade 이동 시 작업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머리부터 발을 포함하는 모든 표면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검체는 위험 평가를 통해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위험이 큰 위치를 채취해야 하며, 채취자는 미..

카테고리 없음 2024.10.20

문서 관리

오늘은 GMP 문서 관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문서는 생성에서 폐기까지 life cycle이 존재하며, 각각의 단계에서 GMP적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각 단계별로 변경관리가 필요하고, 그 안에서 영향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문서의 life cycle 및 각 단계의 주요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문서 개발 (develop) 및 생성 - 업무 절차 및 시간의 순서에 따라 작성하도록 design - 추적성을 기록할 수 있도록 design​ 2. 문서 등록 및 개정 (resister & revision) - Change control ​ 3. 문서 사용 및 유지 (use & maintain) - 기록서 & 로그북 - issues와의 추적성 연계 필요 - 문서의 time li..

카테고리 없음 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