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

유효성 평가 (feat. 실사자 평가)

이전 글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발생된 문제(Issues)와 규제기관 등의 실사 지적사항에서 조치가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고, CAPA를 통해 개선합니다.개선한 이후 그 조치 사항이 GMP 시스템 내에서 적절히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유효성 평가 (effectiveness check)입니다.CAPA를 수행했으면 그 내용이 적절하게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너무 당연한 것 같지만, 사실 누군가 계속 신경쓰고 챙겨야 하는 routine 업무이기에 시스템화 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합니다.일반적으로 발생된 이슈의 종류 및 근본 원인에 따라 CAPA의 유효성 평가 방법을 다르게 가져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절차적인 문제, 시설 및 기기 관련 문제, 품질 검토에서 발생한 문제, 외부 실사(규제..

카테고리 없음 2024.11.25

CAPA (시정 및 예정 조치)

제약회사에 입사하면 '그래서 카파는 어떻게 할건데?, 카파 끝냈어?'라는 말을 끝없이 듣게 됩니다. CAPA(Corrective Actions and Preventive Actions, 시정 및 예방조치)는 확인된 문제(issue) 및 수검 지적사항(findings)등에 대한 후속 조치입니다.쉽게 말하면 특정 문제 및 실사 지적사항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CAPA'이고, 즉각적으로 시정하는 것(CA)과 동일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PA)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시정조치(CA)와 예방조치(PA)를 조금 더 설명하면,시정조치(CA): 발견된 특정 문제를 시정하기 위한 즉각적인 대응 - 확인된 문제가 해결되는 즉시 종료될 수 있습니다. - 절차의 수정, 공정..

카테고리 없음 2024.11.24

조사 (investigation) & 위험 평가 (Risk Assessment)

미국 FDA나 유럽 EMA에서 실사가 나오면, 가장 빈번한 지적사항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조사가 불충분하다'입니다.아래 문장은 US FDA의 CFR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출하 여부에 관계없이 문제가 있으면 완전히 (thoroughly) 조사하라는 내용입니다. '어떻게'는 없습니다. '어떻게든'이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All drug product production and control records, including those for packaging and labeling, shall be reviewed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all established, approved written procedures before a batch is released or d..

카테고리 없음 2024.11.23

일탈, 기준일탈, 경향일탈

Quality system의 일부인 issues 중 일탈(Deviation), 기준일탈(Out of Specification, OOS), 경향일탈(Out of Trend, OOT)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들은 모두 일탈이란 이름이 붙지만 차이가 있습니다.1. 일탈(Deviation) - 승인된 절차에서 벗어남을 의미합니다. - 준수해야 하는 특정 절차를 반영한 SOP가 존재할 때, 작업자 또는 공정이 이를 따르지 않아 문제가 발생합니다. - 일탈에 대한 문서화는 투명하게 시행되어야 하고, 근본원인을 파악하여 CAPA를 문서화 해야 합니다. * 절차가 불명확하거나 정의되지 않은 부분이 있는가? * 직원에 대한 교육은 충분하였나? * 절차는 실제 공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반영하였나..

카테고리 없음 2024.11.22

시험 기기의 Data Integrity 점검

Data Integrity를 확인하기 위해 QC의 시험 기기를 점검한다고 하면 무엇을 확인해야 할지 알아 보겠습니다. ​ 1) 기기(equipment)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권한의 설정 ​ 2) 시간(time-stamp) 조작의 가능성 - 기기 자체적으로 시간을 조작할 수 있으면 안되고, 운영 체제에서의 시간 조작도 불가능해야 합니다. 3) 기기의 사용자 목록(user list) - 기기 사용자가 구분(시험자, 검토자, 관리자 등)되어야 합니다.​ 4) 각 구분에 따른 권한 - 시험자, 검토자, 관리자 등의 권한이 명시되어야 합니다.​ 5) 시험자와 관리자의 권한을 비교하고, 시험자의 권한으로 관리자의 권한이 필요한 기능에 접근(access) 가능한지 확인​ 6) 시험자가 설정할 수 없는 기능(시험 re..

카테고리 없음 2024.11.21

데이터 완전성(DI)의 적용

시스템 도입 시 DI 관점에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생각 해 보겠습니다. 아무래도 요즘 시대는 전산 시스템 없이 구성된 기기는 거의 없기 때문에 DI에서 자유롭긴 힘듭니다. 전산화로 인해 '조작 가능성'을 줄이고는 있지만, 조작 가능성이 다양해졌습니다. 조작에 대한 유혹을 없애는 것이 DI 입니다. 데이터의 생성 시 조작 가능성의 관리 방안을 고민해야 합니다. 1. Computer software - 소프트웨어의 위험평가는 접근 권한, 감사 추적, 전자 서명, 백업 및 복구, 에러 경고 등의 관점에서 고민해야 합니다. - 소프트웨어 또한 기기의 한 부분으로 간주해야 하기 때문에 버전 관리가 중요하고, 업그레이드 시 변경관리도 해야 합니다. 2. Meta data - paper 운영 시에는 중요하지 않았..

카테고리 없음 2024.11.20

ALCOA+를 갖추기 위한 조건

ALCOA+에 대한 상세한 내용 및 예시를 알아 보겠습니다.ALCOA+1. Attributable (추적성) - 특정 작업을 수행한 사실의 추적뿐만 아니라 source data를 찾아갈 수 있는 방법(link화) 또한 중요합니다 - source data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back tracking(찾아가는 방법)'을 알 수 있어야 합니다 - source data의 최신화, version 관리가 되어야 합니다2. Legible (가독성) - 수기로 문서화를 하는 경우 누가 봐도 인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회사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록할 것인지 절차(e.g. 날짜 기입 시 기록법)가 필요하고, 회사의 정책, 규칙 등에 따라 일관성 있게 검토해야 합니다 - miss in..

카테고리 없음 2024.11.19

Data Integrity (DI)

데이터의 조작과 같은 데이터 완전성(DI) 이슈는 최근들어 더욱 크게 다뤄지고 있지만, 새로운 개념은 아닙니다. FDA에 의한 데이터 완전성(DI) 관련 주요 지적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ref. Pharmaceutical Engineering, ISPE) - 기록 누락, 완벽하지 않은 기록 - 부적절한 시스템 접근관리(e.g. ID 공유) - 크로마토그래피 검체와 데이터의 부적절한 처리 * 적절한 절차없이 재적분, 수동적분 - 원본 기록 삭제 및 폐기 - 감사 추적(audit trail) 데이터 완전성(DI)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범위를 정의해야 하는데, 데이터는 raw data, audit trail, meta data를 포함합니다. - raw data * 특정 분석기기 등에 의해 생성된 데..

카테고리 없음 2024.11.18

실사 대응 시 주의사항

이번 시간에는 실사자가 왔을 때 대응 시 주의사항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규제기관 또는 CMO 등 위탁사의 실사자가 갑질을 하기 위해 오는 것은 아니지만, 주의해서 나쁠 건 없을 겁니다. 실사 시 주의사항의 목적은 세 가지 입니다. 1) 실사자가 우리를 믿게 해야 합니다. 2) 실사자를 편안하게 해 주어야 합니다. 3) 모든 것이 우리의 관리 및 통제하에 있다는 확신을 주어야 합니다. 약간씩의 사례를 들어 살펴 보겠습니다. - 대응자는 우리의 process와 information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실제 수행자가 아니더라도 대응 전에 파악하고 와야 합니다. - 단순히 실사자에게 SOP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절차와 목적, 간략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 실사자의 요청이 적시에 처리되어야 합니다. 부족한 ..

카테고리 없음 2024.11.17

GMP 실사를 위해 준비되어야 할 문서

Pre Lisence Inspection(PLI)는 허가를 받기 위해 최초로 수행되는 규제기관의 실사입니다. cGMP 및 euGMP 기준으로 수검을 위해 준비되어야 하는 문서를 살펴보겠습니다. 1. 모든 SOPs, Quality Manual & Standards - 수검 업체의 policies가 중요 - management SOP는 영문화되어 문서관리시스템 내에서 관리 필요 - work instruction은 영문화 버전을 제공 필요 2. 최근 3년간의 일탈, OOS, 변경, 불만 목록 - 수검 제품과 관련된 목록이 필요 - 영문으로 되어있어야 하며, 관리 no. 및 제목이 있어야 하며, 발생한 event의 요약 및 경과 사항(timeline)이 필요 3. 경영진(특히 품질본부) 및 팀장의 job des..

카테고리 없음 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