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Drug Substanc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설명한 CTD의 내용이 Test method에서 specification으로 이어졌습니다. 시험 방법과 규격을 설명했다면 그 다음은 표준품(standard)입니다.
3.2.S.5 Resference Standards or Materials
- 앞서 설명한 시험법에 사용된 표준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관리 방법을 설명
- 어떻게 그 표준품을 선택했는가? 표준품 관리는?
* 표준품의 qualification
* 표준품 성능의 모니터링, 분해 여부의 확인
- 판매 시장이 결정되지 않은 임상 단계에서 EP로 설정했다가 미국 판매를 위해 USP로 변경하는 경우 동등성 자료가 필요
3.2.S.6 Container Closure System
- DS, DP 마찬가지
* 공정 간의 이동에서도 container는 필요
- 제품의 clean, good condition, safety 등을 보장
- 얼마나 제품을 잘 보호할 수 있는가?
* sealing, 시간, 온도, 압력 등 고려
- 제품과 container간의 반응 유무를 확인
* container 규격이 'USP를 따른다'로는 불충분
- Best one을 선택하기 위해 우리의 노력은?
- CTD에 반영되어야 하는 중요한 두 가지
* 왜 그 용기를 선택했는가? 재질에 의한 제품 영향
* Head space가 제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근거
3.2.S.7 Stability
- 단순히 유효기간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 안정성 시험 항목의 종류, 제품의 특성과 관련된 설명
* 제품의 제조 이후 실제 환자에게 투여될 때까지 '제품의 특성 변화'를 설명
- 세 단계(제조, 유통, 사용) 측면에서 안정성을 요약해야 한다
* 제조 관점만 고려한다면, 규제 기관은 '제조 이후 제품에 신경을 안쓴다'고 생각
- 원자재부터 사용까지 수행한 안정성 study는?
- 어떤 시험 항목을 설정할 것인가? 그 결과의 변화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 허가 후 '예상 밖의 결과'가 발생하면, 그 내용을 반영하고 개선하는 절차(안)을 설명해야 한다
- 어떤 안정성 시험을 하는지 study의 목적 등을 설명하고 결정 근거를 명시해야 한다
CTD를 작성할 때는 내용을 잘 포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설명 해 주어야 합니다. 실사 대응 때도 마찬가지지만, 규제기관에서 듣고 싶고, 읽고 싶은 문장들이 있습니다. '데이터 주니까 너네들이 알아서 봐라'라는 식의 구성은 수 많은 IR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