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AMV_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범위

note4692 2025. 1. 21. 07:04

이전 시간까지 AMV에서 검증해야하는 특이성(specificity), 정확성(accuracy), 정밀성(precision), 완건성(robustness)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 외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검출한계 (Detection limit)​
검출한계란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량을 의미하며, 반드시 정확한 값으로 정량 가능할 필요는 없습니다.

2. 정량한계 (Quantitation limit)​
정량한계란 적합한 정밀성과 정확성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검체 중에 존재하는 분석대상물질의 최저량'을 의미합니다. 정량한계는 검체 매트릭스 내에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화합물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매개변수로써 특히 불순물 및 분해산물의 시험에 이용됩니다.

3. 직선성 (linearity)​
직선성은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농도(양)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측정 값을 얻을 수 있는 (일정 범위 내의) 성질을 의미합니다.

4. 범위 (range)​
범위는 적합한 정밀성, 정확성 및 직선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검체 중 분석대상물질의 농도(양)의 하한 및 상한값 사이의 영역을 의미합니다.





예시

직선성(linearity)의 확인

1) 검체 및 표준품의 희석(dilution)이 시험 결과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reaction process의 확인 필요)

2) Quantitation limit(QL)을 확인하기 위한 농도는 일정한 간격으로 시험하여 확인합니다. (QL - Detection limit - Baseline)

3) 두 개 이상의 peak(e.g. 97%, 3%)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범위를 분리하여 각각의 peak를 확인합니다.
  - Purity만 확인한다면 QL은 무시할 수 있지만, purity와 impurity를 같이 확인해야 한다면 무시할 수 없습니다.


Baseline의 확인

1) Baseline noise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지 여러번 시험하여 확인합니다.

2) Baseline의 경향과 무관하게 'lower spec'이 확실하다면 detection limit(DL)은 확인하지 않아도 됩니다.

3) 특정 신호가 진짜 신호인지 확인하기 위해 QL은 DL의 세 배 이상임을 확인합니다.

4) QL과 DL의 범위는 겹치지 않게 확인합니다.


정량한계(QL)의 확인

1) 분석 대상 물질의 직선성 분석으로부터  추정하여 50% ~ 150%까지의 예상 정량 한계를 결정합니다.
  - e.g. 100% = 5 mg/ml

2) 검출 한계(DL)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 대상 물질의 0.1 mg/ml 아래(정하기 나름)의 희석액을 설정합니다.

3) Baseline의 noise level을 결정하고 0.1 mg/ml에 해당하는 진폭(amplitude)를 결정합니다.

4) Baseline noise의 3배를 초과하는 분석 대상 물질의 농도를 역으로 계산합니다.

5) 역으로 계산된 농도 주위의 희석액을 만들어 정량한계를 확인합니다.


이렇게 AMV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시험법마다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AMV의 요소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 아닌 추가로 하거나 제외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 영역은 오랜 시간 관련 시험을 해보고, 그 시험이 주는 의미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결정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 ICH Q2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