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AMV_Robustness

note4692 2025. 1. 21. 06:58

오늘은 AMV 항목 중에서 완건성(robustness)를 공부 해 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시험을 할 때 다양한 시험 변수가 발생하는데, 이런 변동성이 시험에 반영될 때 '최적의 조건(optimal conditions)'에서의 결과와 동등한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시험 변수에 의도적인 변화를 주어 시험결과에 영향이 없는 한계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4M 관점이 시작이지만, 유일한 고려사항은 아닙니다.

1. 사람(Man)
  - 시험 과정 중 매개 변수(parameter)의 오해 가능성
  - e.g. 물을 산에 첨가하거나 산을 물에 첨가 시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2. 방법(Method)
  - 시험법에 규정된 처리시간(processing time), 원료의 양, 전체 처리 시간 등의 허용 간격(acceptable of intervals)
  - e.g. 처리 시간이 1시간 +/- 10분인 경우 50분과 1시간 10분간의 결과 차이를 확인

3. 원료 (Material)
  - 시험법에 규정된 원료 구성(material constitution)에 의해 허용되는 변동성
  - e.g. 원료의 고유한 특징(pH, 유기 함량, 효소 활성 등)에 따라 허용되는 변동성을 고려

4. 기기 (Machine)
  - 적격성 평가(qualification)동안 정확도에서 확인된  장비 고유한 변동성의 허용한계
  - e.g. auto-sampler chamber의 온도 제어 정확도가 +/- 1°C일 때 각각의 결과 확인

이 외에도 유형이 동일한 컬럼을 제조하는 서로다른 제조업체, 표준이 다른 컬럼을 제조하는 등의 '유사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는 원자재 또는 장비', '시험 결과로부터 변동성의 수용 가능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준(e.g. 실제 반응 진폭 vs response, resolution, raw data shape)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변동성은 시험 방법서에 명시함으로써, 어느 정도 잡을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있더라도 결과에 영향이 없는 경우 시험방법서에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시험자의 편의성을 배려해 줄 수도 있습니다. ​

중요한 것은 어떤 요소가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AMV에서 평가해야 하며, 어떤 요소를 관리할 것인지 그 결과를 명시하고 시험방법서에 반영해야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